우리 조상들은 한반도의 큰 산줄기를 백두대간과 1정간, 13정맥으로 구분했다.
13개 정맥 중에서 남한에 있는 정맥이 8개이고, 하나(한북정맥)는 남북한에 걸쳐 있다.
정맥은 백두대간 만큼은 아니지만 일반 산지보다 훨씬 다양한 생물 종이 서식하는 또 다른 생태계 보고(寶庫)다.
산줄기에 있어 백두대간이 고속도로라면 정맥은 국도에, 마을 숲은 지방도로에 해당한다.
동양대 신준환 초빙교수(전 국립수목원장)는 "우리 조상들은 정맥이 백두대간(백두산)의 정기를 마을 숲까지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했다"며 "그래서 백두대간은 물론 정맥과 마을 숲, 집터 뒤란은 함부로 손대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글 싣는 순서>
➀백두대간 (향로봉~지리산 천왕봉 701㎞)
➁정맥(상) -한북·한남·낙동·낙남정맥
➂정맥(하) -한남금북·금북·금남·금남호남·호남정맥
➃백두대간과 정맥, 어떻게 보존할 것인가
정맥 전체 길이는 백두대간의 3배
호남정맥이 477.1㎞로 가장 길고, 금남호남정맥이 72.4㎞로 가장 짧다.
정맥을 이루는 산은 각 8~44개, 고개는 각 12~41개다.
정맥별 평균 고도는 금남호남정맥이 598m로 가장 높고, 한남정맥이 106m로 가장 낮다. 백두대간 평균 고도 754m보다는 전체적으로 낮다.
하지만 백두대간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가 215만명 수준인 데 비해 정맥 주변에 거주하는 인구는 그 열 배인 2200만명에 이른다.
국민 전체로 보면 백두대간보다는 정맥으로부터 더 많은 산림의 혜택을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지난해 3월 산림청은 한국임학회에 의뢰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맥의 경제적 가치는 연간 2조900억원 정도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수도권을 지나는 한북정맥이 가장 많은 1조533억원의 가치를 갖고 있으며, 낙동정맥 2200억원, 한남정맥 1543억원 순으로 평가됐다.
국토 전체 식물 종의 27.1%가 서식
백두대간의 38.3%보다는 적지만, 정맥 주변지역 면적이 40만㏊로 국토의 4%인 것을 고려하면 일반 산지에 비해 생물 다양성이 아주 높은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