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격수의 세계/미사일보다 더 무서운 ‘인간무기’ 55

<21>영국과 독일의 저격전

&lt;21&gt;영국과 독일의 저격전 지능적이고 인내심 있는 감시·관측이 성패 좌우 제2차 세계대전의 전투상황은 전술적 기동이 중요했고 대규모 강력한 지원 화력들, 특히 박격포와 경기관총(LMG) 등의 출현으로 소총병의 역할은 위축됐다. 그러나 영국군에서는 잘 조준된 소총의 진가를 보여주기 위해 ..

<22>연합군 스나이퍼의 저격술

&lt;22&gt;연합군 스나이퍼의 저격술 각자 사거리 설정 동시 사격으로 독일군 제압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이 프랑스의 노르망디 상류작전에 성공하자 영국군 저격수들은 좋은 독일군 표적을 찾을 수 있었다.연합군에게 이른바 “마의 삼각지대”로 알려진 깡(Caen) 부근에 위치한 스코틀랜드 대대는 ..

<23>저격전의 성공과 실패 사례

&lt;23&gt;저격전의 성공과 실패 사례 한명의 저격수에 의해 소·중대 병력 와해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3년 9월, 미군부대가 우여곡절 끝에 이탈리아의 살레르노(Salerno) 상륙작전에 성공한 다음 그곳에서 장기간 주둔하게 됐다.미 제36사단 소속의 스나이퍼 훌처(J. Fulcher) 병장은 소년 시절 텍사스의 황무..

<24>종군기자 ‘로버트 카파’의 활약

&lt;24&gt;종군기자 ‘로버트 카파’의 활약 숨막히는 저격현장 카메라에…戰史로 남겨 제2차 세계대전은 거대한 살육전이었다. 서로를 죽이고 죽는 치열한 싸움 끝에 연합군의 대공세로 전쟁은 막바지를 치닫게 됐다. 미국의 전설적인 종군기자 로버트 카파(Robert Capa)는 1944년 6월 노르망디 상륙작전이 ..

<25>태평양 전쟁의 저격전

&lt;25&gt;태평양 전쟁의 저격전 일본군 저격수들 나무 위에서 기습공격 특징 유럽전쟁이 소용돌이치고 있을 무렵, 아시아에서는 일본군이 1941년 12월 진주만을 기습공격해 이를 신호로 태평양전쟁이 벌어졌다. 아시아와 태평양에서 연합군들은 일본군 저격수의 끈질긴 저항과 투쟁의지에 당혹스러워하..

<26>정글속의 저격수들

&lt;26&gt;정글속의 저격수들 미군, 대전차포 투입 일본군에 산탄 공격 태평양 전쟁 중 미 제41사단 163보병연대 1대대는 1942년 12월에서 43년 1월까지 머스켓(Musket) 방어선의 치열한 전투에서 일본군 저격수의 집요한 공격을 받아 사상자가 속출했다. 정글 속에서 일본군 특공 저격수들은 방어진지를 둘러..

<27>세계대전과 저격술

&lt;27&gt;세계대전과 저격술 저격술, 제2차 세계대전의 유물로 간주 태평양 전쟁시 미 해병대는 미 육군보다 저격전 개념을 더 적극적으로 수용했고 전선에 근접해 저격수들을 배치했다. 미 해병대의 오덴(G. Orden)은 전장에서 점점 증가하는 저격수의 역할과 그 능력을 지지하는 선도자였고, 1942년 로이..

<28>6· 25 전쟁과 저격전

북한군 공세 거세지자 미군 등 저격팀 급조 6·25전쟁은 북한군의 기습남침에 맞서 최초로 유엔군이 참전한 전쟁이었다. 전투를 치르면서 유엔군 병사들은 북한군과 중공군에 맞서 치열한 총격전을 전개했다. 험준한 산악지형 때문에 중장비가 무력해지고 대신 사람과 사람의 전투 즉, 소총병의 사격..

<29>6·25전쟁 당시 유엔군 저격전

&lt;29&gt;6·25전쟁 당시 유엔군 저격전 능선의 중공군 사격장 표적지처럼 쓰러져 6·25전쟁에 참전한 영국과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군은 비교적 소수의 스나이퍼를 전방 소총중대에 배속해 운용했다. 영연방 저격수들은 대부분 영국제 ‘리 엔필드’ 소총으로 무장했다. 캐나다군은 리 엔필드의 성..

<30>베트남 전쟁의 저격전 준비

&lt;30&gt;베트남 전쟁의 저격전 준비 미군, 게릴라전 대비 스나이퍼 집중 양성 한반도에서 6·25전쟁이 휴전된 후 10여 년 만에 미군은 베트남 전쟁에 다시 개입했다. 이미 1961년부터 미국 정부는 자유 베트남에 대한 원조를 시작했고 64년 말 전황이 급속히 악화되자 미군 지상부대가 본격적으로 투입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