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사의 재발견/민족사의 재발견

安의사 자녀들, 일제 계략 휘말려 사죄 ‘굴욕’

화이트보스 2010. 3. 26. 10:51

의사 자녀들, 일제 계략 휘말려 사죄 ‘굴욕’

 
2010-03-26 03:00 2010-03-26 09:36 여성 | 남성
■ 가족들도 고난의 삶
러서 숨진 장남 일제 독살說
남동생 中 충칭서 행방불명
딸 6·25때 대구서 교수생활




안중근 의사는 부인 김아려 여사(1876∼1946)와의 사이에 장녀 현생(1902년생)과 장남 분도(1905년생), 차남 준생(1907년생) 등 2남 1녀를 두었다. 안 의사가 유언을 통해 가톨릭 신부가 되기를 바랐던 장남은 러시아 망명생활 중 어린 나이(7세 또는 12세)에 사망했다. 그의 죽음을 둘러싼 일제의 독살설이 제기돼 왔다.

준생은 어머니 배 속에 있을 때 안 의사가 거사를 위해 집을 떠났기 때문에 아버지를 한 번도 보지 못했다. 1930년대 후반 일본이 점령한 중국 상하이에서 그는 악기상을 열고 식당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며 어렵게 지냈다. 급기야 일제의 계략에 휘말려 1939년 이토 히로부미를 추모하는 뜻으로 지은 서울 남산 기슭의 박문사를 참배하고 이토의 아들을 만나 아버지의 ‘잘못’을 사죄하는 비극의 주인공이 되고 말았다. 그는 1950년 6월 귀국했으나 1952년 11월 폐결핵으로 사망했다. 부인 정옥녀 여사는 자녀(1남 2녀)를 데리고 미국으로 갔다. 26일 열리는 순국 100주기 추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준생의 딸인 안연호 여사(73)가 귀국했다. 준생의 유해는 경기 포천군 천주교 공원묘지에 묻혀 있다.

안 의사 가족의 삶을 추적한 창원대 도진순 교수(사학과)에 따르면 장녀인 현생도 일제의 집요한 계략에 휘말려 1941년 3월 26일 안 의사의 기일에 박문사를 참배하고 아버지의 ‘죄’를 사죄하는 고통을 겪어야 했다. 현생은 1946년 중국 상하이에서 귀국해 6·25전쟁 피란시절에 대구 효성여대 프랑스어과 교수로 생활하다 1959년 4월 세상을 떠났다. 두 딸인 황은주(82·국내 거주) 황은실 여사(79·미국 거주)가 100주기 추념식에 참석한다.

안 의사의 부인인 김 여사는 조국 땅을 밟지도 못하고 1946년 2월 상하이에서 68세로 사망했다. 안 의사의 둘째 동생인 정근은 김구 선생과 신한청년단을 만들어 청산리전투에도 참여했으며, 1949년 상하이에서 사망했다. 그 아래 동생 공근은 김구 선생의 측근으로 비밀결사 대원들의 무기를 조달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이봉창 윤봉길 의사의 의거도 그가 도왔다. 그러나 1939년 5월 충칭에서 실종됐고 유해도 찾지 못한 상태다. 공근의 장남 우생은 남북연석회의 때 김구 선생을 수행했으나 김구 선생 암살 이후 홍콩으로 건너가 자취를 감추었다가 이후 북한으로 갔다. 평양의 애국열사릉에 묘가 있고 후손 20여 명은 북한에 살고 있다.

안 의사 아들의 후손은 미국, 딸의 후손은 남한, 동생 정근의 후손은 남한과 미국, 공근의 후손은 북한과 파나마에 흩어져 살고 있다.

허진석 기자 jameshuh@donga.com


▲동영상=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삶과 죽음까지의 추모 영상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기] 中, 安의사 추모행사 첫 공식승인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기] 100년째 형장 떠도는 大韓國人… 고국에 편히 모실 날 오려나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기] ‘戒愼’ 끝없는 자기성찰… ‘欲保東洋’ 동양평화 큰 뜻 펼쳐
 [특별 기고] “마땅히 해야 할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