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산림조성

백합나무와 비교할때 신갈나무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어떠한가요??

화이트보스 2010. 6. 19. 17:45

백합나무와 비교할때 신갈나무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어떠한가요??

국민신문고 | 2009-06-18 15:00 | 조회 239 | 답변 1

산림과학 F&Q 를 통해 신갈나무가 우리나라의 대표수종중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가장 높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알기로는 백합나무(툴립나무)역시 상당히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나무로서 알려진것으로 알고있는데요 ?

이산화탄소 흠수량을 기준으로 어느나무가 우수한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신갈나무는 좀 높은 곳에서 자라는 걸로 알고있는데 이때문에 백합나무보다 산에 심는 나무로 더적합한건 아닌지 알고 싶습니다!!!

성의 있는 답변 부탁드립니다.1!!
국민신문고 에서 제공해주신 질문과 답변입니다.
질문자 채택

산림청

활동분야 : 국민신문고
본인소개 : 산림청, http://www.forest.go.kr/
반갑습니다.
요즘 탄소흡수량에 관한 질의가 많군요. 관심을 가지시고 계신데 대하여 감사드립니다.
신갈나무(참나무)와 백합나무 탄소흡수량을 비교할 수 있는 양은 결국 생장량과 이를 탄소로 전환하는 계수들 차이에서 오는 결과입니다.
선생님께서 질의에서 말씀하신 바 있으시지만 예전 저희는 백합나무에 대한 공식적인 자료가 없었기에 백합나무의 탄소흡수량 계산은 자제를 하고 있었습니다. 이제는 작년 연말을 기해 공식적인 생장량이 나왔기에 이를 가지고 탄소량을 계산할 수 있었습니다.
동일한 지위(생장하는 곳이 동일할 시)라 하였을 시 백합나무의 생장은 타 수종에 비해 좋습니다. 그러나 생장량을 탄소량으로 바꾸는데에는 용적밀도(목재기본밀도),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뿌리함량비 등의 계수를 곱하는데요, 이 중 특히 용적밀도가 신갈나무(참나무류)에 비해 낮습니다. 현재 신갈나무는 0.65, 백합나무는 0.40을 이용합니다.
이들 계수를 이용할 시, 30년생일때 (생장량이 보통인 지역, 용어로는 지위 "중"인 지역) 연간 이상화탄소 흡수량은
- 신갈나무 9.99 CO2톤/ha
- 백합나무 10.04 CO2톤/ha
로 계산되었습니다. 백합나무는 초기생장이 빠른 수종이므로 30년까지 생장량이 좋아, 탄소(또는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좋으나, 이후는 참나무류에 뒤집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 있지만 용적밀도의 차이가 하나의 이유가 되겠지요.
참고로 35년일 시
- 상수리나무 10.72 CO2톤/ha, 신갈나무 9.59 CO2톤/ha, 백합나무 9.53 CO2톤/ha 으로 계산되고 있습니다.
이는 지위가 좋은 지역은 또 다른 결과를 가져 옵니다.
다른 문의사항 있으시면 국립산림과학원 탄소경영연구과(02-961-2874)로 연락 주십시오.
좋은 하루 되십시오.




-==

작성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탄소경영연구과, 02-961-2874


2010-03-02 0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