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을 가다]구간 제일의 경관 고적대 가는 길 결코 녹록치 않네 [백두대간을 가다] 댓재∼두타산∼청옥산∼고적봉∼백복령(下) 고사목절벽:국민관광지 제1호로 지정된 ‘무릉계곡’이 시작되는 고적대와 갈미봉 사이의 기암절벽이 고사목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연칠성령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 남도일보 백두대간 종주팀은 다시 베낭을 고쳐맸다. 동해바다 구경.. 풍수기행/백두대간을 가다 2009.01.24
[백두대간을 가다] 정상의 안개구름 헤치고 앞만 보고 내달려 댓재~두타산~청옥산~연칠성령~고적대~갈미봉~백복령(상) 댓재에서 두타산을 향하는 대간길은 자연경관이 뛰어난 곳으로 특히 이곳에서 보는 일출과 일몰은 일품으로 알려져 있다. 맑은 날에는 동해바다가 훤히 내려다보여 사진가들이 자주 찾는 곳이지만 애석하게도 남도일보 백두대간팀은 자욱한 .. 풍수기행/백두대간을 가다 2009.01.24
[백두대간을 가다] 연칠성령 돌탑 [백두대간을 가다] 연칠성령 돌탑 연칠성령 돌탑-연칠성령은 삼척시 하장면과 동해시의 경계를 이루는 고개로 망군대라 부르기도 한다. 풍수기행/백두대간을 가다 2009.01.24
[백두대간을 가다] 짙은 안개로 동해는 저멀리 덕항산 정상서 아쉬움 뒤로 피재~건의령~푯대봉~덕항산~큰재~황장산~댓재(하) 고랭지 채소밭 계곡에 옹기종기 정겨운 민가 수십만평 규모의 고랭지 채소밭과 옹기종기 자리한 민가는 산행에 지친 대원들에게 정겨움을 선사하지만 그늘 한점 없이 1시간여 지속되는 채소밭 종주는 고달픔 그 자체다. 잔뜩 흐른 날씨에다 우거진 수.. 풍수기행/백두대간을 가다 2009.01.24
[백두대간을 가다] 고랭지 채소밭 [백두대간을 가다] 고랭지 채소밭 [백두대간을 가다] 고랭지 채소밭 수십만평 규모의 고랭지 채소밭과 옹기종기 자리한 민가는 산행에 지친 대원들에게 정겨움을 선사하지만 그늘 한점 없이 1시간여 지속되는 채소밭 종주는 고달픔 그 자체다 풍수기행/백두대간을 가다 2009.01.24
[백두대간을 가다] 야생화 살짝핀 평평한 숲길은 산행의 안식처 [백두대간을 가다] 피재∼건의령∼푯대봉∼덕항산∼큰재∼황장산∼댓재(상) 백두대간의 뾰족한 봉우리를 사이에서 갑자기 나타난 평평한 숲길. 참나무 뿐 아니라 야생화들이 가득 이어서 힘든 탐사팀에게 오랜만에 편안한 산행을 만끽하게 했다. 이곳에서 20여분 정도를 더 가면 구부시령. 여름이 틀.. 풍수기행/백두대간을 가다 2009.01.24
[백두대간을 가다] 구부시령 [백두대간을 가다] 구부시령 주막을 하던 여인이 남편들이 일찍 죽는 바람에 아홉명의 지아비를 모셨다는 전설이 깃든 구부시령. 주막이 있었을 법한 곳에 소박한 톨탑이 있다. 탐사팀도 돌탑에 손을 더하며 여인의 한(恨)을 달랬다. 풍수기행/백두대간을 가다 2009.01.24
[백두대간을 가다] 겹겹이 쌓인 능선과 능선, 대자연의 파노라마 [백두대간을 가다] 화방재∼만항재∼함백산∼은대봉∼싸리재∼금대봉∼매봉산∼피재(삼수령)(下) 50여분 가량 땀을 비오듯 흘리자 금대봉이 모습을 드러낸다. 그리 경사가 심하지 않은 길을 걷다보면 갑작스레 급경사가 등장한다. 작은 바위 암벽이 그 급경사의 끝에서 우리를 바라보고 있다. 숨을 .. 풍수기행/백두대간을 가다 2009.01.24
[백두대간을 가다] 백두대간과 쇠말뚝 [백두대간을 가다] 백두대간과 쇠말뚝 지난 1995년 정부는 광복 50주년을 맞아 역사적으로 뜻깊은 시점에 부응, 우리 국민 의식 속에 남아있는 피해 의식을 청산하고 새로운 출발을 해보자는 의미에서 쇠말뚝 제거 사업을 추진했다. 쇠말뚝 제거 사업이란 일제 점령 당시 전국의 명산과 명당에 우리 민족.. 풍수기행/백두대간을 가다 2009.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