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정신의 뿌리찾는 정자기행(100)=광산 용진정사 ▲ =지방문화재 자료 제7호로 지정된 용진정사는 후석 오준석 선생에 의해 1917년에 건립돼 나라잃은 슬품을 삭이며 지역 인재들을 강학했던 곳이다. ▲ =“원수 갚기 전엔 상복 벗지않으리라” ▲ =한말 선비 오준석, 고종황제 승하 소식에 통곡 ▲ =산 속 들어가 精舍짓고 인재 강학 민족혼 고취 ‘원.. 풍수기행/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 2009.01.24
호남정신의 뿌리찾는 정자기행(99)=광산 학림정사 ▲사진(1)=한말 때의 유학자 금우 임상희 선생이 한일합방으로 나라를 잃자 슬픔을 가누지 못하고 광산구 등임동 외등마을로 들어와 ‘학림정사(鶴林精舍)’짓고 지역 인재를 모아 민족혼을 일깨웠다. ▲사진(2)=매년 봄이면 지역 유림들이 학림정사(鶴林精舍)에 모여 금우 선생의 학통과 민족정신을 .. 풍수기행/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 2009.01.24
호남정신의 뿌리찾는 정자기행(90)=순천 영락정 -군자(君子)의 세 가지 즐거움 중/ 어느 낙(樂)이 으뜸인고/ 부모 득존(得存)하시고/ 형제 무고(無故)한 즐거움이/ 바로 제일낙(第一樂)이 아니던가/ 이 즐거움 가장 얻기 어려우니/ 하늘이 관여(關與)하고/ 사람이 누리는 낙(樂)이기에 말이외다/ 하늘을 우러러 부끄러움 없고/ 땅을 굽어 부끄러움 없는 .. 풍수기행/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 2009.01.16
호남정신의 뿌리찾는 정자기행(89)=순천 만락정 ▲순천 만락정 ▲ =부패 환멸…벼슬 버리고 움막 지어 은둔 ▲ =숙종때 조유원 만년까지 강학 선비도리 일깨워 ▲ =정자 처마에 우암 송시열 친필 사제의 情 느껴 하늘 개이고 공기는 맑아 경면(鏡面)이 평온한데/ 봄바람이 화창하게 어디서 생기는가?/ 처음으로 수국을 가니 조금 찬 기운이 일고/ 잠깐.. 풍수기행/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 2009.01.16
호남정신의 뿌리찾는 정자기행(87)=거문도 귤은당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에 자리한 귤은당. 이 곳은 오늘날 ‘거문도(巨文島)’란 지명이 있게한 조선시대 거유(巨儒) 귤은 김 유 선생의 도학사상을 묻고 있다. ▲ =귤은 학문에 청나라 장수 탄복 ‘巨文島’라 명명 ▲ =西島 출신 70평생 청산재·낙영재서 제자양성 ▲ =노사 기정진 수제자…조선시대 성.. 풍수기행/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 2009.01.16
호남정신의 뿌리찾는 정자기행(86)=거문도 충열사 임진왜란 당시 스물두살의 꽃다운 나이를 조국에 바친 이대원 장군(1566~1587), 그의 숭고한 넋을 좇아 푸른 파도 넘실대는 여수로 향했다. 여수항에서 뱃길로 두 시간을 포말을 가르며 거문도항에 발을 내딛었다. 여기서 다시 선박을 이용해 40여 분을 달리다 보면 손죽도(巽竹島)라는 아주 작은 섬을 만.. 풍수기행/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 2009.01.16
호남정신의 뿌리찾는 정자기행(85)=여수 충민사 언제였던가. 초등학생들에게 장차 꿈을 물으면 10명 중 7~8명은 ‘이순신 장군처럼 훌륭한 사람이 되겠다’고 대답했던 아련한 시절이 있었다. 그만큼 이충무공은 우리 민족의 가슴에 살아있는 신화같은 존재였다. 그 신화를 지금까지 간직하고 있는 ‘충민사’를 찾아 여수로 내달렸다. ▲ =400여년 전.. 풍수기행/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 2009.01.16
호남정신의 뿌리찾는 정자기행(84)=여수 망해루 ▲ =조선의 젊은 水軍 초롱한 눈빛 눈 앞에 아른 ▲ =임란 당시 전라좌수영 해안 경비 초소 역할 예로부터 여수를 가리켜 ‘호국의 성지’라 일컬어지고 있다. 이 곳은 임진왜란 당시 해전(海戰)에서 용맹을 떨쳤던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혼이 곳곳에 서려있어 어디를 가나 충무공의 애국 정신과 그 체.. 풍수기행/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 2009.01.16
호남정신의 뿌리찾는 정자기행(83)=영암 이우당 조선 문신 신희남, 한석봉 제자 삼아 서예 강론 ▲ =이이·하서·옥봉 등 큰선비들과 교유 政事 논해 ▲ =청렴결백 상징‘竹’‘蓮’일컬어‘二友堂’명명 조선의 명필 한석봉의 신필(神筆)에 대해서는 삼척동자도 아는 사실이리라. 그러나 그를 ‘조선의 명필’로 키워놓은 스승에 대해서는 별로 아.. 풍수기행/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 2009.01.16
호남정신의 뿌리찾는 정자기행(82)=영암 영팔정 영암 조선 청백리 유관 선생 애민사상 깊게 서려 ▲ =이 이·고경명·유상운 등 시문 지어 德 칭송 ▲ =600여년전 강학·향약집합소로 민족정신 고양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이 있다면, 사람으로 태어나 욕심을 버리고 흐르는 계곡 물처럼 맑고 깨끗이 사는 것이다. 조선시대 청백리로 명망이 높.. 풍수기행/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 2009.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