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기행 87

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16)=송강정(上)

◇송강정(상) 송강 정 철(鄭澈·1536~1593), 그는 야심만만한 정치가요, 우리 문학사 최고의 시인, 그리고 수많은 정적(政敵)을 제거한 매파의 우두머리 등이었다. 이처럼 그가 수많은 대명사로 불리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 근대 역사에서 정치·문화적으로 크게 영향을 끼쳤음을 반영해 주고 있는 것이..

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15)=식영정(下)

석천 임억령(林億齡·1496~1568)의 식영정(息影亭)은 우선 ‘식영정 20영(息影亭 二十詠)’과 여기에 차운한 면앙정 송 순, 제봉 고경명, 송강 정 철, 서하당 김성원 등이 쓴 20영(二十詠)이 송강 정 철의 전원가사 및 충신연주가사의 백미인 성산별곡을 낳게한 산실이다. 뿐만 아니라 석천은 이 정자에서 당..

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14)=식영정(中)

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14)=식영정(중) 조선 중기 대쪽같은 선비 석천 임억령(林億齡·1496~1568년), 그의 체취가 물씬 밴 식영정(息影亭)엔 봄기운에 취해 아름드리 소나무가 푸르름을 더하고 있다. 그 아래 위풍 당당하게 버티고 서 있는 송강 정 철의 ‘성산별곡 비’가 이끼 낀 돌계단을 다소곳이 내..

광주정신 뿌리찾는 정자기행(13)=식영정(上)

광주정신 뿌리찾는 정자기행(13)=식영정(상) ▲석천 임억령의 생애 16세기 민중의 정신적 받침목이 되었던 큰 선비 석천 임억령(林億齡·1496~1568). 그는 정치에 아첨하지 않고 재물을 탐하지 않았으며 오로지 자연과 벗하면서 시문(詩文)과 학문(學文)에 진력, 인격과 덕망을 쌓아 충·효·제·신(忠孝悌..

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11)=환벽당과 김윤제

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11)=환벽당과 김윤제 광주호의 상류 창계천가의 충효동쪽 언덕위에 자리잡은 정자 하나가 솔 숲에 묻혀 오가는 객들을 맞고 있다. 이 곳이 바로 사촌 김윤제(沙村 金允悌·1501~1572)가 건립한 환벽당이다. 키낮은 쪽문으로 머리를 구부리고 이끼 낀 수십 계단을 올라 숨을 고르면..

광주정신 찾는 정자기행(9)-소쇄원과 사림들

소쇄원은 주인 양산보를 위한 별서(別墅)였는가? 담양의 소쇄원을 일컬어 ‘동양 최대의 정원’이라고 흔히들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식어 뒤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소쇄원은 호남 큰 선비들의 사랑방이었고, 훗날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낳게한 ‘광주정신’의 탯자리였다. ▲소쇄옹,‘봉..